타입스크립트

· TYPESCRIPT
패키지의 타입선언 - typescript에서 javascript의 모듈을 가져와 사용하려면 모듈의 타입을 선언해주어야 한다. - 모듈의 타입을 선언해주는 파일을 흔히 .d.ts 파일이라고 한다. - .d.ts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1. dts 파일을 만들 때 패키지의 이름과 일치하도록 파일의 이름을 지정해주는 것. ex) lodash.d.ts 2. 만약 파일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래처럼 삼중 slash 지시자의 참조 태그를 통해서 경로를 따로 명시해줄 수도 있다. 자바스크립트로 변환했을 때는 주석처리가 되기 때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파일명에서 d는 declare를 의미한다. - .d.ts 파일에는 구현과 관련된 로직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타입에 대한 내용만 ..
· TYPESCRIPT
오버로딩 함수의 모양이 같지만, 타입이 다른 경우 아래처럼 함수를 2개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function add1(a: string, b: string) { return a + b; } function add2(a: number, b: number) { return a + b; } add1('hello ','world'); add2(1,2); // add1('hello ',2); // 에러발생 // add2('hello ',2); // 에러발생 또 다른 방법으로 오버로딩을 사용할 수 있다. 오버로딩을 사용하는 법은 아래와 같다. function add(a: string, b: string):string // 타입 선언하는 부분 function add(a: number, b: number):n..
· TYPESCRIPT
인터페이스 (interface) 인터페이스는 여러가지 타입을 갖는 프로퍼티로 이루어진,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타입 체크를 위해 사용되며 변수, 함수, 클래스에 사용할 수 있다. // 인터페이스 (Interface) // 선택적 속성 - ? // 읽기전용 속성 - readonly interface Userr { // 파스칼케이스 name: string; age: number; // 읽기만 가능, 재할당 하려고 하면 에러 발생 isValid?: boolean; // name과 age는 필수인데, isValid는 선택적 속성임을 알려준다. //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됨 } const Ronaldo: Userr= { name:'Ronaldo', age: 36, isValid: 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