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 (TypeScript)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발표한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정적 타입 문법을 추가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동적타입으로, 런타임에서 동작할 때 타입 에러를 확인하기 때문에 오류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적 타입 문법을 추가한 것이 타입스크립트이다. 타입스크립트는 정적 타입의 컴파일 언어로, 코드 작성 단계에서 타입 오류를 확인하므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의 확장자명은 .ts인데, ts 파일은 웹에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변환 후에 브라우저에서 동작시키면 된다.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superset)으로 완벽하게 호환이 되며 대부분의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가 타입 스크립트를 지원한다...
정적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동적타입을 가진 언어이다. 따라서 특정 값이 할당된 변수에 그와 다른 자료형의 값을 넣는 것이 가능하다. 자유롭기는 하나, 그만큼 자료형 관련 오류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동적타입(Dynamic typed), 정적타입(Static typed) : 타입을 컴파일에서 확인하는 언어가 정적타입 언어, 런타임에 확인하는 언어를 동적타입 언어라고 한다. 정적타입 언어 : C, C++, C# 등이 있다. 동적타입 언어 : javascript, python 등 정적타입의 장점 1. 타입 에러로 인한 문제점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어 높은 안정성을 자랑한다. 2. 컴파일 시에 미리 타입을 결정해서 실행속도가 빨라진다. 정적타입의 단점 1. 코드 작성 시 변수형을 결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