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H-SR602로 간이 보안시스템 만들기
오늘은 간이 보안시스템 만들기로 돌아왔습니다. 누구나 집에 모르는 사람이 들어오면 어쩌지 싶은 걱정이 있을텐데 그거 방지하려고 직접 제작할 생각을 했습니다. 인식하면 경고등 울리고 누가 왔는지 사진 찍고 휴대폰에 알림오는 게 기본 구상입니다. 근데 이제 저인 걸 인식을 시켜야할텐데 그건 어떻게 할지 고민 좀 해봐야할 거 같습니다. 아두이노만으로는 어려울 거 같고 라즈베리파이를 추가해야하나...
상상도는 무인 단속기처럼 생각해봤는데, 생각보다 만들기 쉬울 거 같기도 합니다. 근데 이제 Wi-Fi 모듈이 없어서 쿠팡에 급하게 시켜놨습니다. 일단 기본 연결만 하고 2일 정도 뒤에 와이파이 모듈 오면 완성해보려고요. 포스팅은 나눠서 진행할 겁니다.

준비물
- 아두이노 Uno
- MH-SR602 인체 감지 센서
- 부저 (Buzzer) - (경고음 발생시키기 위함, 시끄러운 게 싫다면 LED로 대체 가능)
- ESP8266 또는 ESP32 Wi-Fi 모듈 - 원격 알림 전송을 위한 모듈 (아직 배송 중)
- 점퍼 케이블과 브레드보드




연결
- MH-SR602 연결
- OUT은 디지털 2번에 연결해줍니다.
- + 는 전원 공급으로 5V에 연결해줍니다.
- - 는 GND에 연결해줍니다.
- 부저 연결
- 부저의 + 핀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 9에 연결해줍니다.
- 부저의 - 핀은 아두이노의 GND에 연결해줍니다.
위처럼 연결하면 됩니다. 그럼 아래처럼 완성이 됩니다.

뭔가 맥아리 없어보이긴 하는데 선줄처리하고 고정시키면 괜찮아지겠죠? 일단 실험단계니까 넘어갔습니다. 부저 소리가 생각보다 시끄러우니까 실험할 때는 시리얼 모니터를 활용하거나 LED를 이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아무 생각 없이 했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실험영상
첫번째 영상은 손이 인식됐을 때 시리얼 모니터에 감지됐다는 게 뜨는 영상입니다. 영상 찍을 때 노래가 흘러나오는 게 녹음될 줄 몰랐습니다. 휴대폰에서 나오는 노래가 휴대폰에 흘러들어가네요... 새로 알았습니다.
다음 영상은 부저에서 삐 소리가 나는 영상입니다. 소리가 생각보다 크니까 주의하세요. 이게 울리면 집 들어오다가 도망갈 거 같습니다.
잘 인식이 되는 걸 확인했으니, Wi-Fi 모듈이 올 때까지 대기하겠습니다. 박스로 외관 꾸미는 것도 조금 진행해봐야겠네요.
코드
const int motionPin = 2; // MH-SR602 센서 출력 핀
const int buzzerPin = 9; // 부저 핀
void setup() {
pinMode(motionPin, INPUT);
pinMode(buzzerPin, OUTPUT);
Serial.begin(9600);
}
void loop() {
int motionState = digitalRead(motionPin);
if (motionState == HIGH) { // 움직임 감지 시
Serial.println("Motion detected!");
digitalWrite(buzzerPin, HIGH); // 부저 울림
delay(1000); // 1초 동안 경고음 발생
digitalWrite(buzzerPin, LOW); // 경고음 중지
}
delay(2000); // 센서 감지 간격
}
센서 감지 간격을 늘리려면 딜레이 시간을 조정해주면 됩니다. 저는 2000으로 사용했습니다.
'가내공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내공업] 2004 I2C LCD 모듈로 장식 만들기 (4) | 2024.11.12 |
---|
MH-SR602로 간이 보안시스템 만들기
오늘은 간이 보안시스템 만들기로 돌아왔습니다. 누구나 집에 모르는 사람이 들어오면 어쩌지 싶은 걱정이 있을텐데 그거 방지하려고 직접 제작할 생각을 했습니다. 인식하면 경고등 울리고 누가 왔는지 사진 찍고 휴대폰에 알림오는 게 기본 구상입니다. 근데 이제 저인 걸 인식을 시켜야할텐데 그건 어떻게 할지 고민 좀 해봐야할 거 같습니다. 아두이노만으로는 어려울 거 같고 라즈베리파이를 추가해야하나...
상상도는 무인 단속기처럼 생각해봤는데, 생각보다 만들기 쉬울 거 같기도 합니다. 근데 이제 Wi-Fi 모듈이 없어서 쿠팡에 급하게 시켜놨습니다. 일단 기본 연결만 하고 2일 정도 뒤에 와이파이 모듈 오면 완성해보려고요. 포스팅은 나눠서 진행할 겁니다.

준비물
- 아두이노 Uno
- MH-SR602 인체 감지 센서
- 부저 (Buzzer) - (경고음 발생시키기 위함, 시끄러운 게 싫다면 LED로 대체 가능)
- ESP8266 또는 ESP32 Wi-Fi 모듈 - 원격 알림 전송을 위한 모듈 (아직 배송 중)
- 점퍼 케이블과 브레드보드




연결
- MH-SR602 연결
- OUT은 디지털 2번에 연결해줍니다.
- + 는 전원 공급으로 5V에 연결해줍니다.
- - 는 GND에 연결해줍니다.
- 부저 연결
- 부저의 + 핀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 9에 연결해줍니다.
- 부저의 - 핀은 아두이노의 GND에 연결해줍니다.
위처럼 연결하면 됩니다. 그럼 아래처럼 완성이 됩니다.

뭔가 맥아리 없어보이긴 하는데 선줄처리하고 고정시키면 괜찮아지겠죠? 일단 실험단계니까 넘어갔습니다. 부저 소리가 생각보다 시끄러우니까 실험할 때는 시리얼 모니터를 활용하거나 LED를 이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아무 생각 없이 했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실험영상
첫번째 영상은 손이 인식됐을 때 시리얼 모니터에 감지됐다는 게 뜨는 영상입니다. 영상 찍을 때 노래가 흘러나오는 게 녹음될 줄 몰랐습니다. 휴대폰에서 나오는 노래가 휴대폰에 흘러들어가네요... 새로 알았습니다.
다음 영상은 부저에서 삐 소리가 나는 영상입니다. 소리가 생각보다 크니까 주의하세요. 이게 울리면 집 들어오다가 도망갈 거 같습니다.
잘 인식이 되는 걸 확인했으니, Wi-Fi 모듈이 올 때까지 대기하겠습니다. 박스로 외관 꾸미는 것도 조금 진행해봐야겠네요.
코드
const int motionPin = 2; // MH-SR602 센서 출력 핀
const int buzzerPin = 9; // 부저 핀
void setup() {
pinMode(motionPin, INPUT);
pinMode(buzzerPin, OUTPUT);
Serial.begin(9600);
}
void loop() {
int motionState = digitalRead(motionPin);
if (motionState == HIGH) { // 움직임 감지 시
Serial.println("Motion detected!");
digitalWrite(buzzerPin, HIGH); // 부저 울림
delay(1000); // 1초 동안 경고음 발생
digitalWrite(buzzerPin, LOW); // 경고음 중지
}
delay(2000); // 센서 감지 간격
}
센서 감지 간격을 늘리려면 딜레이 시간을 조정해주면 됩니다. 저는 2000으로 사용했습니다.
'가내공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내공업] 2004 I2C LCD 모듈로 장식 만들기 (4) | 2024.11.12 |
---|